-
개인 연금 준비 ④ 연금저축 수령 방법금융 전략 2021. 8. 25. 17:44반응형
개인연금저축에 대한 마지막 단계인 수령에 대한 내용입니다.
우선, 개인연금저축에 대한 개요 및 저의 개인적인 생각은 아래 링크를 참고해 주시기 바랍니다.
개인 연금 준비 ① 개인연금저축과 IRP
연금(Pension)은 노동 하지 않아도 꼬박꼬박 계좌에 돈이 지급되는 수단입니다. 보통 은퇴자들에게는 축복과도 같은 금융상품이죠. 다만, 실제로 납입한 금액과 연금으로 받을 금액의 함수가 너무
glee.tistory.com
개인 연금 준비 ② 개인연금저축, 가입해야 하나?
1편에서 개인연금과 IRP의 차이를 비교해 보았습니다. 수수료 부과 기준, 중도 인출 여부, 운용상품 범위 정도에서 세부적인 차이가 있긴 하지만, 사실 비슷합니다. 뭐가 더 낫다 못하다고 할만한
glee.tistory.com
개인 연금 준비 ③ 어떤 종목을 살까?
노후의 연금 준비를 위해, 증권사 개인연금저축 계좌를 개설하기로 마음을 먹었다면, 각자 개인이 전략적으로 포트폴리오를 운영해 나가야 합니다. 저의 경우, 몇 가지 원칙을 정해두었고 그에
glee.tistory.com
개인연금저축 수령 조건
우선, 2개의 조건이 모두 충족되어야 수령이 가능합니다.
1. 가입기간 : 5년 이상 경과
2. 연령 : 만 55세 이후
두 가지 요건이 충족되었다면, 연금소득자의 연금소득금액 계산을 위해 기존에 공제받은 자료를 제출해야 합니다. ("연금보험료 등 소득세액공제확인서") - 스마트폰(홈택스) 또는 해당 증권사 지점을 방문하여 도움을 받으시면 됩니다.
위의 서류 발행하여 제출해야 합니다.(홈텍스 또는 증권사 지점) 또한 아래 금감원 연금포털시스템에서 자세히 설명해주고 있습니다.
금융감독원 연금포털시스템
안전한 연금포털 서비스 이용을 위하여 뒤 서비스가 종료됩니다.로그인 시간을 연장하시겠습니까? 로그인 연장 닫기 닫기
100lifeplan.fss.or.kr
여기서 중요한 점은, 개인연금 소득공제 혜택의 조삼모사가 여기서 발현됩니다. 만약 매년 연말정산때마다 연금보험료로 소득공제 받아왔던 분들이라면 그간 공제 혜택을 받았던 그 금액만큼을 전부 제하고 그 나머지가 최종 연금평가금액이 됩니다.... (그래도 연금소득세가 3.3% ~ 5.5% 수준이라는데에 위안을 합니다...)
아래는 금융감독원 홈페이지에 발췌한 연금수령 안내입니다. 그간의 세액공제를 제한 후, 연금평가금액을 설정한다는 내용은 좀 애매하게 표현했습니다.... 수령이 가장 중요한데, 이런 부분을 슬쩍 넘기려는 의도가 다분히 보이며, 금융소비자로써 분명 문제제기가 되어야 하는 부분입니다.
금융감독원 통합연금포털 연간 인출 한도 및 방법
개인연금저축의 수령 개시가 된 이후, 매년 1월 1일에 계좌에 있는 평가액을 기준으로 하여, 당해년도의 1년 동안 꺼내어 쓸 수 있는 한도가 결정이 됩니다.
연간 연금수령한도는 = 연금평가액 / (11-연금수령연차) * 120% 입니다.
가령, 연금 저축을 통해 1년간 400만원 * 5년 * 20% 수익 이 발생했고, 그간 세액 공제를 100만원 받았다고 가정시, 2,300만원의 연금평가액이 기준이 되며, 2,300만원 / (11-1) * 120% = 276만원. 년간 276만원 (월 기준 23만원)을 인출이 가능합니다.
단, 연간 1,200만원 이상 인출을 하게되면, 종합 소득세 과세의 대상이 되니, 주의가 필요합니다.
인출에 따른 혜택
연금 수령 개시가 되었다 하더라도, 그 계좌안에서의 상품운용은 자유롭게 해나갈 수 있다는 점이 장점 (또는 단점?)으로 작용할 수 있고, 1편에서 설명드린, 이 연금소득세는 3.3~5.5% 수준으로 일반적인 금융소득세(15.4%) 보다 상대적으로 낮습니다.
금융감독원 통합연금포털 이미 저는 연금에 불입하는 돈은, 비용으로 인식을 하기로 마음 먹었기에, 1년 인출액이 얼마가 되었건간에, 그대로 소비할 예정입니다. 혹시, 저와 생각이 다르신 분들은 인출액을 다른 투자금으로 활용해도 됩니다.
글을 정리하다보니, 생각보다 세제혜택이 쎄진 않습니다만, 본인이 어떻게 활용하느냐에 따라 분명 장점으로 작용할 부분도 많습니다. 과세이연(세액공제), 소득세 절세, 강제 저축효과 등등.....
부자되시길 바랍니다~
'금융 전략' 카테고리의 다른 글
ISA 계좌의 모든 것 (개요, 혜택 및 장단점) (0) 2021.09.06 8/26 한국은행 기준금리 인상 (0.5 -> 0.75%) (0) 2021.08.26 개인 연금 준비 ③ 포트폴리오 짜기 (0) 2021.08.23 개인 연금 준비 ② 개인연금저축, 가입해야 하나? (0) 2021.08.19 개인 연금 준비 ① 개인연금저축과 IRP (0) 2021.08.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