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개인 연금 준비 ③ 포트폴리오 짜기금융 전략 2021. 8. 23. 17:49반응형
노후의 연금 준비를 위해, 증권사 개인연금저축 계좌를 개설하기로 마음을 먹었다면, 각자 개인이 전략적으로 포트폴리오를 운영해 나가야 합니다. 저의 경우, 몇 가지 원칙을 정해두었고 그에 따라 운용을 진행해나가려고 합니다.
※ 요점은, 자산운용사에서 설명해주는 방식을 듣고 이해하는 것이 우선이라고 생각됩니다.
2편 보기개인 연금 준비 ② 개인연금저축, 가입해야 하나?
1편에서 개인연금과 IRP의 차이를 비교해 보았습니다. 수수료 부과 기준, 중도 인출 여부, 운용상품 범위 정도에서 세부적인 차이가 있긴 하지만, 사실 비슷합니다. 뭐가 더 낫다 못하다고 할만한
glee.tistory.com
1. 국내 상장된 해외 ETF만 운용한다.
펀드는 수수료 및 보수체계의 허들이 아무래도 ETF보다는 상대적으로 높다보니, ETF로만 매매하기로 했습니다. 연금저축 계좌는 국내 주식시장에 상장된 ETF만 거래가 가능합니다. 즉, 개설한 연금계좌에서 거래할 수 있는 ETF 리스트를 확인할 수 있고, 그 안에서만 운용이 가능합니다.
국내시장에 투자되는 ETF도 제외합니다. 저의 경우 기본적으로 국내 주식에 직접투자를 하고 있고, 연금계좌의 장점인 비과세 및 과세이연의 혜택을 위해서라도, 해외 ETF는 이 계좌를 이용할 예정입니다.
→ 참고 : 해외 ETF의 경우, 분배금(배당) 뿐만 아니라, 매매 차익에 대해서도 15.4%의 세금이 부과됩니다. 그런데 연금 계좌에서 운용하면, 매매차익이 발생하더라도 당장 세금을 부과하지는 않습니다. 즉, 55세 이후 개인연금 형태로 수령하기 전 까지는 양도세 및 배당수익세에 대한 과세를 이연하는 효과를 누립니다.출처 : 삼성자산운용
2. 신흥국에 투자한다.
미국과 한국 주식은 위탁계좌에서 직접 투자를 진행하므로, 저는 신흥국에만 투자를 할 예정입니다. 중국, 인도, 베트남이 주요 타겟입니다.
3. ETF 자산운용사의 소개와 설명을 적극 참고 한다.
사실, 그동안 개별기업 중심으로 투자를 한 저의 입장에서는 금융회사의 상품 홍보나 소개에 있어서는 항상 부정적인 입장이었습니다만, 개인연금과 해외ETF에 대한 부분 만큼은, 자산운용사에서의 홍보자료가 너무나 큰 도움이 되었습니다.
이 운용사들의 추천을 그대로 따라할 필요는 전혀 없지만, 나의 투자관을 정립시켜주기에 좋은 자료가 많은 것 같아, 아래와 같이 링크를 공유 드립니다.
우선, 삼성자산운용에서는 KODEX라는 브랜드로 ETF를 운용합니다. 많이들 알고 계시죠.
KODEX
코덱스 공식홈페이지, 증권사 리포트모음, 대한민국 ETF 시장의 선도자, KODEX는 국내 시장을 뛰어넘어 글로벌 시장을 선도하는 ETF 운용사를 지향합니다.
www.kodex.com
운용하는 연금 전용 ETF에 대해서 아주 잘 설명을 해두었고, 실제로 투자 아이디어 및 전망도 읽기 쉽게 설명이 되어 있습니다.출처 : 삼성자산운용
나름 종목 추천도 하고 있습니다. S&P500, 테크주식, 4차산업, 중국 등을 중심으로 추천을 해주고 있네요.출처 : 삼성자산운용
다음은 미래에셋자산운용의 TIGER ETF 입니다.
미래에셋 TIGER ETF
[ETF스푼] #9. 4차 산업혁명의 열쇠, 클라우드 타고 날아가자
www.tigeretf.com
미래에셋자산운용은 개인연금저축에 있어 공격적으로 마케팅을 합니다. ETF에 대한 소개도 좋지만, 개인연금의 혜택에 대한 로직이 아주 심플하고 직관적이어서, 다시 한번 머릿속으로 정리하는데 큰 도움을 줍니다.
출처 : 미래에셋자산운용 개별 기업보다는 약간 겉핡기식 투자가 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솔직히 개별 국가, 지수, 특정 섹터에 대해 검토할 사항이 한 두가지가 아닐텐데.. 물론 공을 들인다면 좋겠지만, 年 400만원씩의 한정된 투자이다보니, 깊이있게 어프로치하기는 쉽지 않을 것입니다.
사회초년생이 된 듯한 마음으로~ 지금까지와는 달리 좀 재미있게 투자해보려 합니다.'금융 전략' 카테고리의 다른 글
8/26 한국은행 기준금리 인상 (0.5 -> 0.75%) (0) 2021.08.26 개인 연금 준비 ④ 연금저축 수령 방법 (0) 2021.08.25 개인 연금 준비 ② 개인연금저축, 가입해야 하나? (0) 2021.08.19 개인 연금 준비 ① 개인연금저축과 IRP (0) 2021.08.18 종합소득세 발생에 따른 건강보험료 변화 (0) 2021.07.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