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ISA 계좌의 모든 것 (개요, 혜택 및 장단점)
    금융 전략 2021. 9. 6. 17:22
    반응형

    ISA계좌 (Individual Saving Account)는 2016년도에 도입되었습니다. 도입 당시 장기투자(3년 이상)를 독려하기 위한 정부의 절세 혜택으로 "만능통장"이라고도 불리우며 각광받았으나, 결정적으로 주식 직접투자가 안되어, 저 뿐만 아니라 많은 주식투자자들이 아쉬워했던 상품입니다. 

     

    '20.2월 드디어 국내 직접 주식투자가 가능한 "중개형 ISA"가 새롭게 출시가 되었습니다. 이 중개형 ISA 상품의 장점과 단점, 활용법 등에 대해서 본격적으로 알아보겠습니다.

     

    상품 개요

     

    ① 의무가입 기간

        3년 (가입기간이 3년 이상이 되어야 혜택 부여 가능)

     

    ② 가입요건

        19세 이상 누구나 가입 가능

        단, 1인 1계좌가 원칙이며, 기존에 ISA계좌를 보유한 사람은 해지를 해야 중개형 ISA 가입 가능

        또한, 직전 3개년도 한번이라도 금융종합과세 대상자가 아니었어야 함

     

    납입한도

        年 2,000만원 (해당년도의 미불입분은 차년도 이월적립도 가능) = 5년간 최대 1억원. 그 이상은 안됨

        현금만 입금 가능. 주식 대체입고 불가

     

    ④ 수수료 : 없음

     

    장점 및 주요 혜택

     

    중개형 ISA의 가입기간이 만 3년 이상이 되면, 아래와 같은 혜택을 받을 수 있습니다.

    큰 단점이 보이질 않습니다. 중간에 돈을 찾아야 하는 경우, 절세 효과가 없어지지만, 패널티가 주어지는 것도 아닙니다. 고로, 가입하지 않을 이유가 없습니다.

     

    저는 특히, 배당소득에 대한 비과세 하나만으로도 가입의 필요성이 느껴졌습니다.

     

     

    중개형 ISA의 단점

     

    ISA 가입 이후, 종합소득세 대상이 되면, 만기 이후 연장이 불가능합니다. 물론 본인이 설정한 만기까지는 ISA계좌에서 발생한 투자수익 비과세와 이자,배당소득 분리과세 혜택은 그대로 누릴 수 있습니다.

     

    다만, 아직 관련하여 발생할 수 있는 각종 케이스에 대해서는 정부에서 아직 애매한 입장을 보이는 상황인 것 같습니다. 이런 불확실성이 아직 존재하는 있다는 부분이 ISA계좌의 단점이라고 할 수 있겠습니다.

     

     

    ISA 가입후 종소세 대상되면 연장 불가

     개정된 ISA는 가입 문턱을 크게 낮췄지만 서민과 중산층 지원이라는 대의에 맞게 금융소득 종합과세 대상자에게는 문을 열지 않았다. 가입 직전 3개년 사이에 한번이라도 금융소득 종합과세 대

    www.newstomato.com

     

    결론 (가입해야 합니다.)

     

    결론은 중개형 ISA 계좌는 하루라도 빨리 가입해야 합니다. 최악의 경우라 할지라도 아무런 패널티가 없습니다.

     

    중개형 ISA 출시 자체의 목적을 추론해봐도 이 계좌에는 베네핏이 있다고 생각이 듭니다. 바로 2023년부터 금융투자에 대한 소득세 도입에 대한 불만의 완충 효과의 목적이 있지 않겠냐 라는 생각이죠. 금융투자 양도세라는 채찍에 대한 작은 당근이라고 생각해야 할 것 같고, 채찍을 피할 수 없으면 작은 당근이라도 받아 먹어야 하겠죠.

     

    ※ 참고 : 2023년 1월 1일 금융투자 소득세 신설 예정 : 펀드/주식/ELS 등 매매차익에 대해서 과세 예정

       - 기본공제 : 국내주식, 주식형펀드는 5,000만원, 나머지는 250만원이고, 초과분에 대해서는 22% 과세  

     

    많은 도움이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Designed by Ti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