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
-
성장주의 급락 (feat.룰루레몬)주식 투자 2024. 7. 10. 00:05
Lulu가 그동안 엄청난 성과와 실적을 보여왔다. 하지만, 더 나은 성과를 내지 못했기 때문에 박살이 나버리는... 그러한 시장 안에 우리는 있다. 지금의 시장은 룰루레몬 혹은 엔비디아처럼 가격이 책정되어 버린다기대감을 충분히 만족시켜주면, 화끈하게 보답해준다.하지만 미래 성장에 대한 부푼 기대가 조금이라도 무너지는 조짐이 눈 앞에 나타나면,주식은 완전히 붕괴된다. 그동안 우리가 거품 속에 있었다는 것을 말해주는 잔인한 방법이다.거품이 나쁜 뜻은 아니다.펀더멘탈리스트의 관점에서는 어차피 성장주는 거품타고 올라가는 것 아니겠나. 룰루레몬에게 있어 더이상 PER 60의 대접을 해줄 수가 없다. 가격이 폭락하면서 발생하는 밸류에이션 매력을 부각시킬수록점점 성장주 반열에서 내려올때가 다가오게 되는 것이다. ..
-
한 가지를 집요하게 고집하는 기업들주식 투자 2024. 7. 9. 14:26
똥고집을 가지고 한 우물만 파다가 기회를 만나면 엄청난 것을 만들어낸다. 1. 엔비디아 엔비디아가 AI시대를 예측해서 GPU에 목숨을 걸었을까. 절대 아니었다. 한눈 안팔다보니, 오타쿠스러울 정도의 전문성이 생겼고, 그게 시대의 운과 맞아 떨어졌다. 2. 애플 AI 시대의 수직통합. CPU, GPU, NPU 같은 컴퓨팅 파워 그위에 OS. 거기에 LLM 같은 게 추가되고, 그 위에 디바이스와 앱. 이걸 애플은 다 정리를 했다. 무언가 확고한 철학과 뚝심이 있었던게 아닐까. 역으로 구글, 마소는 많은 일들을 해왔지만, 이제는 좀 통합이 필요할 것 같다. 이걸 통합해 줄 핵심 역할을 누군가가 할 수 밖에 없지 않을까.. 참고로 마이크로 소프트가 코파일럿 플러스 PC를 발표할때, 인텔도 아니고, AMD도 아..
-
팔란티어 (PLTR)주식 투자 2024. 7. 8. 15:23
뭐하는 회사일까.일단 현재로써는 AI라는 도구를 활용하여, 기업의 문제를 해결해주는 회사 정도로 정의하면 어떨까 싶다. 기업의 모든 데이터들을 투명하게 규명/정의해서, 파운드리 라는 팔란티어가 만든 시스템에 먹여주고,업무를 하면서 데이터 상호간의 액션들을 통해 인과관계들을 기록하고, 결과도 피드해주고, 하면서AI가 기업 내부적으로 커스터마이징된 로직들을 계속 생성해 내게 하는 것 같다. 그냥 좋아보인다. 근데 이거 해자가 있는걸까? 얘네들만 그것이 가능한 것일까?그 부분은 솔직히 잘 모르겠다. 잠재적인 위험이라면, AGI.즉, 스스로 학습할 수 있는 능력까지 탑재한 AI가 등장한다면, 바로 위험해 보인다.스스로 문제 파악 -> 테스트 -> 로직 정립 -> 학습 의 무한 반복이 인간의 힘을 전혀 빌리지..
-
룰루레몬.. 그냥 단순한 아이디어주식 투자 2024. 7. 5. 16:43
올해들어 가장 무식하게 빠진 종목. 룰루레몬 생각을 깊게 할수록 두려움만 생긴다. 때로는 단순하고 재미있게 접근하는 것도 필요할 듯.일단 방향은 긍정적으로 잡고 생각해보자. 따로 나중에 네거티브하게 보기도 해야겠지만... 예를 들어,오젬픽으로 체중을 줄이는데 성공한 여성이, 그토록 입고 싶었던 룰루레몬 팬츠를 마구 담게 될수도 있지 않을까.억눌렸던 게 폭발하는 .. 보복 소비 같은 느낌으로 ..사실 오젬픽을 살 정도의 여성이면, 구매력도 어느 정도 되지 않을까.. 슈즈 쪽은 이미 손절한 듯한 느낌이다. 반응이 없다. 그냥 매장 구색 정도로만 만족할 듯.왠지 새로운 거 하다가 안되면 바로 짤라내는 회사같다. 내 스타일 이다. 예전에 홈피트니스 장비 손절하듯이.그래.. 작은 실패를 많이 해봐야 사업감각과 경..
-
저평가와 고평가주식 투자 2024. 7. 5. 12:27
PER x EPS. 두개 모두 변수다. 이 변수값들의 곱셈값이 증가해야 하는데,얼핏 생각하면, 현재 두 변수가 모두 낮은 값이라는 생각이 들어야 매수를 하고 싶을 것이다. 하지만 멀티플이 낮은 데에는 다 이유가 있다. 특히 오랫동안 그런 대접을 받아왔다면, 분명 이유가 있는거다.내가 뭐 잘났다고 저평가라고 주장하며 꾸준히 매수할 수 있을 것인가. 극소수 고수의 영역이라 생각한다. 시장의 오해를 이용하겠다는건데,다수의 투자자들의 집단지성이 오해를 한건지, 내가 오해를 한건지..좀 겸손해질 필요가 있지 않을까.. 반면, 시장도 당연히 오해를 할 수 있기에,저PER가 고PER로 향해가는 경우도 많고, 반대의 경우도 많다.특히, 미래 EPS 성장에 대한 기대와 측정이 난해할수록 멀티플 변동성은 커진다. 그래서 ..
-
고용이 탄탄해서 경기침체가 안온다.주식 투자 2024. 6. 24. 11:09
- 경기침체는 심플하게 어떻게 우리에게 다가오나... 1. 수요 증가 : 사람들이 물건을 많이 사기 시작한다. 2. 설비 및 공급의 증가 : 기업에서는 물건을 많이 찍기 위해, 공장을 짓고, 원재료를 더 많이 사는 등 각종 투자를 늘린다. 3. 고용의 증가 : 심지어 기업에서는 직원이 더 많이 필요해서, 고용을 늘린다. 4. 금리 인상 시작 : 물건 가격이 너무 올라간다. 이에 수요를 둔화시키기 위해, 금리를 올린다. 5. 수요 감소 : 금리 인상으로 인한 부채 부담, 실질 소득 감소로 수요가 줄어든다. 6. 과잉재고 처리 : 수요감소로 기업이 생산한 많은 물건들이 잘 안팔린다. 할인과 세일을 진행한다. 7. 해고 시작 : 그리고 기업은 직원들도 해고하여, 적자 폭을 줄인다. 8. 시설 구조조정 : 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