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고용이 탄탄해서 경기침체가 안온다.
    주식 투자 2024. 6. 24. 11:09
    반응형

    - 경기침체는 심플하게 어떻게 우리에게 다가오나...

     

    1. 수요 증가 : 사람들이 물건을 많이 사기 시작한다.

     

    2. 설비 및 공급의 증가 : 기업에서는 물건을 많이 찍기 위해, 공장을 짓고, 원재료를 더 많이 사는 등 각종 투자를 늘린다.

     

    3. 고용의 증가 : 심지어 기업에서는 직원이 더 많이 필요해서, 고용을 늘린다.

     

    4. 금리 인상 시작 : 물건 가격이 너무 올라간다. 이에 수요를 둔화시키기 위해, 금리를 올린다.

     

    5. 수요 감소 : 금리 인상으로 인한 부채 부담, 실질 소득 감소로 수요가 줄어든다.

     

    6.  과잉재고 처리 : 수요감소로 기업이 생산한 많은 물건들이 잘 안팔린다. 할인과 세일을 진행한다.

     

    7. 해고 시작 : 그리고 기업은 직원들도 해고하여, 적자 폭을 줄인다.

     

    8. 시설 구조조정 : 직원 뿐 아니라, 공장, 설비 등도 매각한다.

     

    9. 경기침체 발생 : 모든 침체 요인이 발생했다. 경기침체다.

     

    - 근데, 이제는 과거의 이 공식이 잘 안들어맞는 상황에 온 건 아닐까...

     

    - 특히, 고용 측면에서.

     

     

    - 미국의 경우, 항상 사람은 남아돌았다. 파란선(근로자)이 항상 빨간선(일자리)이 높았다.

       그 차이가 실업률이다.

     

    - 근데 지금은 사람이 일자리보다 밑에 있다. 일할 사람이 없다. 쉽게 실업이 발생하기 어렵다.

      (아마도 베이비붐 세대들의 대거 은퇴가 시작되는 것과도 연관이 있지 않을까...)

     

    - 해고를 못시킨다 =  수요가 줄지 않는다.

      즉, 해고가 안되면, 경기가 꺾이기 힘들다.

     

    '주식 투자' 카테고리의 다른 글

    룰루레몬.. 그냥 단순한 아이디어  (0) 2024.07.05
    저평가와 고평가  (0) 2024.07.05
    암호화폐.. 화폐도 시장이 결정함.  (0) 2024.06.20
    디어 앤 컴퍼니  (0) 2024.06.11
    초과 수요와 엔비디아  (0) 2024.06.04
Designed by Ti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