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파이오링크 간단 분석주식 투자 2022. 9. 13. 12:31반응형
두서없이 작성한 파이오링크 관련 내용인데, 현재 투자를 염두에 두고 있어, 기록 차원에서 작성해 봄
1. 국내 1위의 ADC (Application Delivery Controller) 제조사
- ADC는 웹 서버 앞에 위치하여 특정 서버에 트래픽이 몰리지 않도록 다수의 서버에 트래픽을 분산시키고,
서버 응답 속도를 향상시키며 보안까지 강화하는 장비
- 글로벌 기업 F5, 라드웨어, 씨트릭스 등과 경쟁중이며, 국내 M/S는 40% 수준으로 1위
- 국내 유일의 제조사는 아님. 다만, 국내 후발주자의 경우, 낮은 가격을 앞세워 경쟁하는 경우가
많으나 동사는 동급의 가격대를 유지하며 기술력으로 글로벌 업체와 경쟁 (추가 확인 필요)
2. ADC 시장의 성장
- 당연하게 들리겠지만, 어찌됐건 데이터센터 증가, 클라우드 시장 성장에 따라 ADC 수요는 매년 증가
- 2019년부터는 공공시장에서 민간시장으로 시장확대에 성공. (현재도 공기업 중심의 안정적인 매출은 발생하는 것으로 추정)
3. 새로운 제품군(클라우드 보안스위치, HCI)을 통한 성장 도모
- 2015년 "클라우드 보안스위치"로 신규 성장동력을 확보
클라우드 보안스위치는 지역과 거리, 인력에 구애받지 않는 차세대 모델로 기존 보안스위치를 대체.
심지어 원가도 기존 보안스위치보다 낮다고 함. 일본에서 매출 급증 중
- 하지만, 보안스위치 시장은 진입장벽이 낮고 성장성 제한적이라고 함, (단, 부품교체 수요 등, 안정적 CF)
- 신규 HCI(Hyper Converged Infrastructure) 사업 성장도 기대됨
HCI는 서버, 스토리지, 네트워크 장비를 하나의 서버에 통합하는 기술로 비용 감축과 편의성 향상
4. 2021년 10월, 보안관제 국내 1위 기업 이글루시큐리티가 대주주로 등극
- 보안관제와 클라우드 부문의 시너지 효과 기대
4. 기타 개별 내용
1. 대부분의 보안관련 업체들과 동일하게 4분기에 매출이 쏠림. 고정비 성격의 사업.매출이 증가에 따른 OPM 개선폭이 큼
2. 반도체칩 부족현상이 심화될수록 원자재에 대한 동사의 부담은 커질 수도 있음
3. 22년 반기 상품군별 매출 비중은 21년과 크게 다르진 않음
4. ADC 마진이 가장 좋음
5. 22년 2분기까지 홈스쿨 매출 효과 봤음. 아파트 보안 관련 매출이 3분기 발생해야 높은 매출 유지 가능
6. 클라우드 보안스위치의 일본 매출은 22년도에도 계속 급증중
7. 재고 자산 추이로 향후 매출을 가늠해 볼 수 있음. 22년 1,2분기 재고자산 급증을 통해 3,4분기의 높은 매출을
추정해 볼 수도 있을 것 같음
'주식 투자'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하이닉스 3분기 영업이익 (어닝쇼크) (0) 2022.11.02 대창단조 리포트(현대차증권) (0) 2022.09.20 이수화학 ④ 시세 분출! (0) 2022.09.05 SPOTIFY(스포티파이)의 성장 (0) 2022.08.31 스타벅스 2분기 실적 호조 (0) 2022.08.03